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니포터13

[책 리뷰] 불평등 이데올로기 불평등 문제는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큰 문제 중 하나이다. 청년 세대는 '흙수저 계급', 'N포 세대'라 불리며 신분 상승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빈곤이 대물림되는 '신' 계급 사회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청소년 자살률과 노인 빈곤율, 그리고 최저 수준의 출생률은 한국 사회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조돈문 교수의 는 현대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심도 있게 탐구한다. 수저 계급 사회에 던지는 20가지 질문과 대답으로 구성되어 있어 더욱 자세하게 우리 사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이다. 목차추천의 글머리말: 불평등 이데올로기와 숫자의 반란1부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불평등1장. 한국 사회 불평등, 견딜 만한가?한국 사회 불평등의 현주소-미국과 스웨덴 사이심각한 소득 격차-상위 10%와 하위 50.. 2024. 7. 2.
[책 리뷰] 검찰국가의 배신 은 김학의 사건의 전말을 치밀하게 되짚고 검찰에 대한 문제점을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을 통해 검찰의 역할을 다시 생각하고,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학의 사건의 수사 과정뿐 아니라 공판 기록, 관련자 증언, 언론 보도를 취재와 교차 검증으로 사건의 실체를 꼼꼼하게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 실패 후 윤석열 정부의 집권 이후 검찰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목차 프롤로그 | 검찰개혁은 어떻게 보복당했나1. 과거를 묻다출국을 막아라제 식구 감싸기면죄부로 끝난 재수사2. 검찰의 반격수상한 공익 신고자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3. 미완의 무죄강적을 만나다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다진실과 거짓무죄 판결에필로그 | 검찰정권의 배신주상.. 2024. 6. 12.
[책 리뷰] 구로동 헤리티지 박진서 저자의 는 구로동이라는 한 동네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조명하는 책이다. 24년 동안 구로동에 거주하며 이곳의 변화를 지켜봐온 토박이로서 구로동의 역사와 문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한다. 그는 구로공단, 구로 디지털 단지, 중국인 밀집 지역 등 구로동의 대표적인 키워드를 통해 바깥에서 바라보는 구로동의 모습과는 다르게 이면을 담아냈다.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구로동의 이야기가 아니라 그 안에서 일하고 살아가는 이들의 이야기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나는 내일 어제의 구로를 만난다 1부 24년 토박이의 구로를 잘 안다는 착각 하마터면 디지털동이 될 뻔한 사연 당신의 동네는 어디부터 어디까지입니까 10년이면 강산도, 영화제도 변한다 신도림을 녹색으로 물들인 성 패트릭 씨 구치소.. 2024. 1. 5.
[책 리뷰] 총은 총을 부르고 꽃은 꽃을 부르고 책 는 국가인권위원회가 기록하고 씨네21의 이다혜, 이주현 기자가 영화 열 편을 통해 우리 인권의 현주소를 들여다보는 책이다. 이전의 책 이 2002년에서 2012년 사이에 제작된 열 편의 인권 영화를 다뤘다면 이 책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제작된 인권영화 열 편을 소개하고 있다. 목차 서문 총을 드는 세상이 아닌 꽃을 드는 세상으로 1장 우리가 구덩이에 빠졌을 때 해야 할 일 영화 〈메기〉 | 감독 이옥섭 | 글 이다혜 “청년을 위한 해피엔딩은 어디 있을까” 2장 어쩌다 학교는 이토록 살벌한 공간이 되었을까 영화 〈우리는 떡볶이를 먹을 권리가 있다〉 | 감독 최익환 | 글 이주현 “혁명을 하기에 좋은 타이밍이라는 게 있다면 그건 지금 당장이다” 3장 추앙받지 못하는 낙오된 아이돌 영화 〈힘을 낼.. 2023. 1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