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이야기

영화 티켓값만 내려도 관객은 돌아온다. 이 정도 반응이면 영화관도 눈치챘겠지?

by 인생은 하나의 필름과도 같으니. 2025. 7. 25.
반응형

 

2025년 7월 25일 금요일 오전 10시부터 정부가 영화관람 할인원 450만장을 배포하기로 했습니다. 내수 진작을 위한 민생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라고 해요.

 

 

✅ 혜택

이번 영화 할인권은 요일 제한 없이, 영화 1편당 단 6,000원에 관람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문화가 있는 날'(매달 마지막 수요일) 에는 단돈 1,000원에 영화 관람이 가능하다고 하니 더욱 인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할인가가 파격적인만큼 배포가 시작되자마자 접속이 폭주해 예매 사이트는 현재도 마비 상태입니다. 반응이 아주 뜨겁습니다.

 

 

열광하는 이유?


사실 그동안 영화관을 찾기 망설였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높은 관람료였습니다.
2인 기준으로 티켓값에 팝콘까지 사먹으면 거의 30,000원은 들다보니 여러모로 부담스러운 가격이 되어버렸죠.


최근 기준 영화 관람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평일 기준
    • 조조: 11,000원
    • 낮 시간대: 14,000원
  • 주말 기준
    • 조조: 동일 (11,000원)
    • 낮 시간대: 15,000원

 

물론 최근 한국 영화의 낮은 퀄리티 문제도 없진 않았지만,
영화관에 가지 않게 된 더 직접적인 이유는 ‘가격’이 아니었을까요?
OTT를 이용하면 약 15,000원의 가격으로 많은 컨텐츠를 볼 수 있으니까요.

이처럼 할인 혜택에 관객들이 즉각 반응하는 걸 보면
현재의 영화 티켓 가격이 너무 높게 책정된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8천 원만 되어도 한 편 볼 거 두 편 본다"는 의견도 적지 않은 만큼,
지속가능한 관람 문화를 위해서는
지나치게 높아진 관람료 구조를 조정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물론 영화 제작비 등, 여러 현실적인 문제가 있고 고려되어야겠지만
관객의 발걸음을 돌릴 수 있는 방법이라면 뭐든 시도해볼 가치가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말이죠.
(혜택을 줄이고 수익화를 우선하는 모습은 관객들도 다 알고 있다는 점, 잊지 말아야합니다 ^^)

 

이번 정책이 단발성 이벤트로 그치지 않고
영화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반응형

'영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상반기 영화 결산 BEST 12  (0) 2023.07.15
2월 1주차 개봉작 소개.  (0) 2023.02.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