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45

[책 리뷰] 불평등 이데올로기 불평등 문제는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큰 문제 중 하나이다. 청년 세대는 '흙수저 계급', 'N포 세대'라 불리며 신분 상승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빈곤이 대물림되는 '신' 계급 사회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청소년 자살률과 노인 빈곤율, 그리고 최저 수준의 출생률은 한국 사회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조돈문 교수의 는 현대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심도 있게 탐구한다. 수저 계급 사회에 던지는 20가지 질문과 대답으로 구성되어 있어 더욱 자세하게 우리 사회를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이다. 목차추천의 글머리말: 불평등 이데올로기와 숫자의 반란1부 통계로 보는 한국의 불평등1장. 한국 사회 불평등, 견딜 만한가?한국 사회 불평등의 현주소-미국과 스웨덴 사이심각한 소득 격차-상위 10%와 하위 50.. 2024. 7. 2.
[책 리뷰] 듄2: 듄의 메시아 1권에 이어 2권으로 다시 돌아온 프랭크 허버트의 . 1969년 출간된 듄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으로 폴의 황제 등극 이후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다.  목차듄의 메시아 7에필로그 374책 리뷰아직 그들의 음모는 끝나지 않은 채, 허공을 맴돌고 있었다. 12년의 지하드가 끝을 맺고 새로운 지도자가 생긴 만큼 그 결과에 대한 반감 또한 존재했기에 폴 무앗딥을 무너뜨릴 공동의 조직이 결성된 것이다. 무앗딥의 몰락은 그들에게 있어서 큰 기회였으며, 승리로 거듭날 경우 다시 자신들의 계획대로 모든 것이 돌아갈 터였다. 이 흉악한 음모는 하나의 몸이나 마찬가지인 폴과 알리아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들은 시간 속의 물결을 이용하여 시야를 가리고 예지력을 발휘할 수 없게 만들었다. 여전히 남아있는 음모세력들은 이.. 2024. 7. 1.
[책 리뷰] 듄 프랭크 허버트의 시리즈의 첫 번째를 여는 1965년 . 네뷸러상, 휴고상 수상을 하며 20세기 최고의 SF소설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가 드니 빌뇌브 감독을 통해 37년 만에 영화화 되면서 원작 소설이 다시 주목을 받았다. 의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방대한 세계관으로 인해 영화 과 가 원작 소설 1권에 해당한다. 1편은 원작의 중반에 해당하는 내용을 그대로 담아내었지만 2부는 상당히 각색된 부분이 많다. 실제 책을 봤을 때, 긴 것도 긴 것이지만 방대한 세계관에 감탄을 금치 못했다. 한 사람의 손에서부터 나왔다는 사실과 흥미로운 이야기는 놀라울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다. 시간만 된다면 읽던 자리에 계속 앉아 잠도 안자고 계속 보고 싶을 정도였다. 활자로 표현된.. 2024. 6. 27.
[책리뷰] 돼지 복지 윤진현 교수의 는 국내 동물 복지 축산의 현재를 설명하고, 동물의 복지를 보장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제시한다. 동물 복지에 대한 논의가 전무했던 시절부터 연구를 시작했던 윤진현 교수의 연구와 경험을 토대로 한국 축산 현실에 맞는 동물 복지 시스템을 제안하는 책이다.  목차머리말 | 왜 돼지가 행복해야 할까?1장. 동물복지와의 인연돼지와의 첫 만남동물복지 연구를 시작하다핀란드 동물복지연구소2장. 동물복지형 농장은 무엇이 다른가핀란드 규따야 농장을 방문하다좋은 엄마를 만드는 개방형 분만사동료와 교감하는 임신사 군사사육잠자리와 화장실이 구분된 육성·비육사무엇보다 중요한 관리자의 자질3장. 동물복지란 무엇인가동물복지 축산의 시작현대 사회에서 동물복지의 의미동물복지 수준을 평가하는 법4장. 동물이 느끼는 고통과.. 2024.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