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사회 문화 예술

[책 리뷰] 이불 속에서 봉기하라

by 인생은 하나의 필름과도 같으니. 2023. 11. 12.
반응형

 

일본의 작가 다카시마 린의 책 <이불 속에서 봉기하라>은 현대 사회에서 소외되고 무기력함을 느끼는 청년들에게 혁명의 메시지를 전한다. 2023년 기노쿠니야 인문 대상 수상작으로 세상의 변화를 원하지만, 한 치의 변화도 보이지 않는 현재 상황에 실망하고 있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책이다. 사회의 변화하지 않는 모습과 무기력한 자신 사이의 간극 속에서도 누구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추구하는 자세가 인상 깊다. 세상을 변화시키는 데 첫 번째로 나서지 않아도 좋다고 말하는 이 작가의 말을 들어보고 싶어졌다.

 

 

목차

 

서문
한국어판 독자 여러분께

1. 모든 권력을 거절하라: 아나카 페미니즘
거절의 언어
매 순간 변하는 현상이 되고 싶다
아나카 페미니스트가 된 이유
나는 써야만 한다
죽고 싶은, 죽이고 싶은 마음은 사람을 살리는 데 쓰자

2. 함께 화를 내자: 시스터후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시스터후드
케이크는 던지지 말고 전부 먹는다
얻어맞으면 되받아치겠다
세상에는 더, 더, 더 많은 길이 필요하다

3. 나는 ‘거울아, 거울아’가 싫다: 외모지상주의
웃는 유랑자, 저항하기 위한 파괴
그 열차에는 타지 않아도 된다
도시의 뼈를 주워라

4. 이불 속에서 봉기하라: 신자유주의와 능력주의
테트리스에 몰두하는 헛된 시간에 대해
머그잔은 깨졌고, 욕실 타일은 오늘도 네모나다
나는, 꼭 행복해야 하는가
셀프 인터뷰

5. 꼼짝할 수 없는 밤을 위해: 정신건강과 우생학
완전히 붕괴하기 전에
젠장, 미안해, 괜찮아, 괜찮아
새벽 3시 40분, 가장 괴로운 시간

6. 개인을 지우는 클리셰에 대해: 가부장제와 국가주의
새해에는 비즈니스호텔로 도망친다
느슨한 합의로 마구 확대되는 것
눈앞의 풍경을 의심하라

7. 밈처럼 변한 사회: 통념과 의례
총구 앞에서 계속 춤추기
반(反) 생일 파티주의
두 사람의 역사

8. 소리 지르지 못하는 존재들을 위해: 애도와 기도
전철에서 눕는 사람, 볼탕스키의 신화
변두리의 유령들
죽은 이와의 합의

마치며
옮긴이의 말

 

상세 이미지

 

 

책 후기

 

어떤 청년들은 자기혐오에 빠져 무기력하게 자신만의 ‘이불’ 속에 숨어버리고 만다. 저자는 우선 무엇이 그들이 웅크리도록 몰아세우는지를 자세하게 분석한 후 본격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현대 사회에서 청년들이 직면한 문제에 대해 다룬다. 신자유주의, 능력주의, 젠더 차별, 사회 구조적 폭력 등이 청년들을 무력감과 좌절로 내몬다고 주장한다. 근원적인 문제 분석을 통해서 자신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완전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최소한의 저항법을 통해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주체성에 대해 언급한다. 이 책을 읽고 조금씩 채워 가다 보면 어느새, 이불 속에서도 할 수 있는 저항의 방법들이 눈앞에서 실현되기 시작한다.

 

저자는 이불 속에 웅크린 청년들이 느끼는 허무함과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한다. 생존하는 것만으로도 존재의 의미는 충분하며, 저항의 마음을 품고 조금씩 나아가자고 격려한다. 이불 속에서 생각을 차근차근히 정리하는 것이 저항의 첫걸음이다. 또한, 자신을 억압하는 사회의 규범과 권력을 의심하고 자신만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이야기로 이불 속에서의 저항은 어떠한 과정을 거치는지 보여준다. 이러한 저항이 사회를 바꾸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믿으며 진정한 혁명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과 소통하며, 사회에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책은 청년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날카롭게 지적하며 청년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사회의 부조리에 저항하는 청년들에게 위로와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이불 속에서도 할 수 있는 저항의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현실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하여 저항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게 돕는다. 다만, 이상적인 사회를 꿈꾸고 있는 만큼 주장에 대한 현실감이 떨어지는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 실천 방법이 다소 어렵고 일상의 권력에 저항하는 것도 쉽지 않지만, 지금을 살아가고 미래를 꿈꾸는 청년들에게 저항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은 현실이 두려운 청년들에게 다시 일어날 용기와 희망을 건네준다.

반응형

댓글